새 학기를 맞이하는 3월이 되면서, 다시금 새로운 마음가짐을 갖게 되는데요 :) 왠지 시작만 3개월째인 것 같지만...😂 힘내서 남은 1분기 잘 마무리해 보자고요! 💪
요즘 ChatGPT가 뉴스나 기사, 실생활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게 된 것 같아요. 이전까지는 새로운 소식에 민감한 인싸들의 새로운 툴 같았다면, 이제는 ChatGPT가 일상이 되어, 모두에게 스며들도록 AI에 대한 접근 장벽을 낮춰주지 않았나 생각합니다. "챗GPT 주제 정책토론회 개최"와 같은 뉴스 헤드라인만 봐도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 AI가 녹아들기 시작했는지 예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😲
최근 제가 AI의 일상화를 체감했던 일화가 있었는데요. 즐겨보는 출판사 유튜브의 한 에피소드에서, ChatGPT로 보도자료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는 편집자의 인터뷰 영상을 봤습니다. 생각해 보면 출판사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하는 곳이니, 새로운 기술에 대해 당연히 관심을 가지는 게 맞지만, 사람의 머리에서 온전히 창작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글쓰기도 이제는 'AI로 글쓰기에 도움을 받는 것이 당연해질 수도 있겠구나!'라고 생각했답니다. (글쓰기로 텔레비전에 나오려면 AI보다 더 똑똑하게 써야 할까요?! 🤣)
지금 Google 검색에서 "Data-Centric AI"를 검색하면 "Model-Centric vs Data-Centric"이라는 제목의 글들은 쉽게 찾을 수 있어요. 하지만, 데이터 중심 AI란 무엇인지 기초부터 설명하는 글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았는데요. 저는 뉴스레터에서 데이터 중심 AI에 대한 다양한 아티클을 다루어왔지만, 대부분은 데이터 중심 AI 및 MLOps 구축을 위한 Best Practice나 최신 트렌드를 다룬 내용이었던 것 같아요. 데이터 중심 AI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교육용 자료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죠.
서론이 길었는데요!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MIT에서 진행되는 데이터 중심 AI 입문 과정을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. 🧑🏫 바로 MIT 컴퓨터 과학 & 인공지능 연구소(CSAIL)의 DCAI(Decentralized and Collaborative AI) 연구 그룹 웹 사이트에서 들어보실 수 있어요. 이 교육 과정은 데이터 중심 AI에 대한 최초의 과정이고, 데이터 중심 AI을 설명하는 강의부터, 데이터셋 생성, ML 모델의 데이터 중심 평가에 대한 과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앞서 언급 드린 것처럼, 이 강의는 언제 어디서나, 전공이나 직업과 관계없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는데요. 하지만 각 강의를 온전히 이해하고 최대한 활용하려면 ML, Python, 기본적인 개발 환경과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요😰 그렇지만, 이 교육 과정은 저처럼 데이터 중심 AI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를 찾는 사람이라면 도움이 될 거로 생각합니다. 믿을 수 있는 교육 과정이라는 것에 큰 의미가 있고요! (그리고 무료로🙌)
이제 우리가 강의를 들을 준비와 열정만 있다면🙋 커리큘럼에 따라 공부만 하면 됩니다! 실제로 저도 이 교육 과정을 가지고 회사 동료들과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어요. ✍ 혼자 공부가 힘들 것 같다면, 저처럼 동료들과 함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. 새 학기를 시작하는 기분으로👩🏫 MIT의 데이터 중심 AI 교육 과정을 추천해 드려요!
슈퍼브에이아이의 한국어 홈페이지가 론칭되었습니다! '아직도 없었다고?'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, 홈페이지가 없진 않았습니다. 😂 하지만, 기존 홈페이지는 영어가 기본으로 되어 있어서 한국어로 보시려면 페이지를 번역해서 이용하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요. 이제는 모두 깔끔하게 한국어로 작성된 내용으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 많이 구경하러 와주세요! 👉 홈페이지 방문하기
Stanford와 Meta AI의 최근 연구는 비지도 학습에 대한 새롭고 간단한 접근 방식을 개발했습니다. DIET에는 최소한의 코드 리팩토링, 아키텍처 독립성, 추가 하이퍼파라미터가 없다는 세 가지 주요 이점이 있습니다. 실험 결과는 DIET가 CIFAR100 및 TinyImageNet 벤치마크에서 현재 SOTA 방법과 경쟁할 수 있음 보여줬는데요! 링크를 통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!
Microsoft는 주로 영업 및 마케팅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에코 시스템의 여러 앱에 AI 기능을 추가했습니다. Dynamics 365에 추가된 Copilot는, Github의 Copilot과 유사하게 개발자가 코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라고 합니다!
초거대 한국어 언어 모델을 후원하기도 했던 오픈소스 AI 커뮤니티 일루더AI가, 자체적인 비영리 재단을 출범했어요. AI 유니콘 기업인 Stability AI, Hugging Face 및 Canva에서 후원했다고 하는데요. OpenAI도 당초 이런 비영리 연구소에서 출범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흥미로운 뉴스가 아닐 수 없네요!
Quora/Wikipedia와 같은 커뮤니티 기반 정보 저장소를 재발명하여 사람 대신 항목을 생성하는 챗봇을 사용하도록 하고, 챗봇이 생성한 응답에 찬성 또는 반대를 투표할 수 있습니다. 진행 중인 스레드에 자신의 쿼리를 추가할 수도 있고요! Reddit과 비슷하지만, 인간이 질문하고 AI가 답변하는 서비스라고 하네요!